온라인으로 돈버는 법/그림쟁이의 먹고사니즘

크몽 기업회원과 개인회원 그리고 세금계산서 발행

아오리댁 2021. 2. 4. 00:00

무형의 인적 서비스를 상품화해서 판매할 수 있는 국내 플랫폼 중 크몽은 가장 큰 시장임에 틀림없다.

 

비싼 수수료, 지나친 가격경쟁 등의 리스크가 있지만서도, 어떻게 일감을 따야하는지 전혀 요령이 없는 초보 작가들에게 꽤 쓸모있는 플랫폼임이 사실이다.

 

크몽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과 장단점이 궁금하다면, 이전 포스팅을 먼저 참고하시길.

▼▽

 

aomori.tistory.com/2

 

프리랜서 재능마켓 크몽 kmong의 장단점, 수수료

아직까지 내 주요 수입원은 다달이 들어오는 회사월급인데 아무래도 외국에 있다보니 고용형태가 좀 거시기하다; 계약기간이 따로 없는 풀타임 용역직으로 9 to 5 재택업무를 하면서 안정적으로

aomori.tistory.com

 

 

우선 회원가입을 하자.

 

회원가입 절차는 별로 복잡할게 없다.

 

네이버나 카카오 등 타 플랫폼 아이디와 연동해서 가입할 수도 있고 이메일 주소로도 쉽게 가입가능.

 

개인으로 가입을 하는 경우에는 준비할 서류가 딱히 없지만,

 

기업회원으로 가입시에는 사업자등록증, 통장계좌번호 페이지(사실 이거는 기억이 가물;)와 인감도장 jpg가 필요하니 미리 준비해두면 좋다. 

 

나 역시 기업 회원으로 가입을 했는데, 처음에 인감도장 이미지를 준비해두지 않아서 서명 이미지를 제출더니 가입이 반려가 되었다.(개인은 걍 서명으로도 상관없음)

 

마침 당시 한국에 있을때라 직접 동사무소에 갈 수 있었고, 서류를 떼오느라 하루 이틀 시간이 걸렸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필요한 서류만 잘 업로드 하면 어려움 없이 가입된다.

 

 TIP. 사업자등록증과 통장계좌번호 페이지는 사업자로서 외주작업시 매번 필요한 한 세트로서의 서류들이니 이미지를 깔끔하게 잘 준비해두면 두고두고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 회원과 개인 회원의 차이는 무엇일까?

 

가장 큰 차이점은 기업 회원은 세금계산서 발행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내가 제공하는 서비스 비용에서 10%의 부가세를 더하여 대금을 받는 것으로,

 

모든 기업들은 종합소득세/부가세 등의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데, 지출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발행받을 경우

 

세금 신고시 지출증명이 되므로, 일정부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제대로 된 기업이라면 지출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발행받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경험상 꽤 많은 고객들이 정부에서 지원금을 받고 크몽을 이용하기도 하기때문에 지출증빙을 위한 세금계산서 발행여부를 묻곤 했었다.

 

빨간 네모친 서비스와 같이 가격의 앞부분에 저런 마크가 표시되어있다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서비스다.

 

 

그리고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기업회원이 많은 서비스가 있고, 상대적으로 개인회원이 많은 서비스가 있는데

 

내가 제공하는 서비스 카테고리에서 기업회원이 별로 없는 경우에는 내가 몇 안되는 세금계산서 발행자라는 사실이 경쟁력이 되기도 한다.

 

고객 입장에서는 커리어나 전문성이 인증되지 않은 개인회원의 서비스보다 세금계산서 발행까지 해주는 기업회원을 더 신뢰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너무 당연한 얘기.

 

 

 

나는 개인사업자인데 왜 세금계산서 발행이 안될까?

 

사업자번호가 있는 개인사업자라고 해서 다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서는 일반 공인인증서가 아니라 기업용 범용인증서를 받아야만 하는데

 

범용인증서는 모든 범위의 사업용도로 쓸 수 있는 꽤나 편리한 인증서다.

 

대신 그만큼 비용이 들고(1년에 8만원, 3년에 21만원) 발급을 받으려면 좀 귀찮긴하지만 한번 받아두면 편리하긴 함.

 

국세청에 범용인증서를 등록하면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이 가능해진다.

 

기회가 되면 범용인증서 발급에 대해서도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다.

 

 

 

 

일단 다음 포스팅에서는 크몽의 서비스 등록과 상세페이지 만드는 요령에 대해 살펴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