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는 어디서나 할 수 있어

일본 최대 코인거래소 '코인체크' 계좌 개설하는 방법

아오리댁 2021. 2. 13. 16:10

비트코인과 각종 코인들이 차례로 떡상하고 있는 요즘, 한국 코인 계좌가 없는 나같은 재외국민은 강 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는 중.

 

한국의 모든 은행, 증권계좌가 그렇듯이 코인거래소도 계좌 개설을 위해서는 한국 핸드폰 번호가 필수적으로 있어야하고 문자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나처럼 외국에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계좌를 열기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님..

 

 

지금같은 상황에 한국을 쉽게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어서 고심끝에 일본 현지 거래소를 이용해보기로 함.

 

일본에서 가장 큰 코인 거래소라고 하는 '코인체크'의 계좌를 열어보기로 하였다.

 

한국에서도 가입이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한번 시도해보시길.

 

(iOS 유저이므로 안드로이드는 디테일이 살짝 다를 수도 있음.)

 

 

1. 앱 다운로드

 

코인체크 비트코인 월렛

먼저 앱스토어에 가서 'coincheck' 검색 한 후 앱을 다운 받는다.

 

풀네임은 Coincheck Bitcoin Wallet.

 

지원하는 언어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인도네시아어. 아쉽게도 한국어는 지원 하지 않는다.

 

 

2. 회원가입

앱을 실행하고 하단바에 있는 Resister를 선택

 

Register 선택
이메일주소와 비밀번호를 설정해준다.

 

 

그러면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컨펌용 이메일이 오는데, URL을 클릭해서 확인해주면 된다.

 

이메일은 컴터로 확인하는 버릇이 있어서 컴으로 함;

 

노란 박스안에 URL클릭

URL을 클릭해주고, 규정사항에 대한 동의에 모두 체크해주면 회원가입 자체는 완료.

 

하지만 이게 끝이아니다. 아직 수많은 인증의 산이 남아있음.

 

 

 

3. Tow-Factor 인증

 

이메일 인증을 하고나면 메일이 한번 더 올거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URL을 클릭하면 큐알코드 화면이 뜰 것이다.

 

사실 폰번호 인증이랑 이거랑 뭐가 먼저였는지 살짝 헷갈리는데 나오는대로 순서대로 하면됨. 폰번호 인증은 특별할게 없음.

 

이 큐알코드 인증은 투 펙터 인증이라고 하는 나는 처음보는 인증 방식이었는데,

 

Google Authenricator라는 앱을 따로 받아서 진행해줘야함.

 

 

회색 아이콘의 Google Authenricator 다운

 

 

앱 실행 후, 화면에 나오는 큐알코드를 찍으면 Google Authenricator 화면에 OTP(One Time Password)가 생성이 되는데, 

 

이 여섯짜리 코드를 코인체크 화면에 입력해주면 된다.

 

 

 

 

4. 폰번호 인증

 

본인번호 입력하고 문자오면 6자리 코드오면 입력하면 된다.

 

참고로 폰번호 입력요령은 국가번호를 포함해서 입력해야하며, 010에서 맨앞에 0은 쓰지 않는다.

 

한국 국가번호는 82번이므로, +821012345678 이런식으로 입력하면 끝.

 

 

 

 

4. 신분증 인증

본인 신분증 사진을 찍는 단계다.

 

빛 반사가 없고 적당히 밝은 곳에서 촬영하는것을 추천. 안그러면 계속 인식 실패해서 여러번 시도해야함 ㅠ

 

Verify identity 선택.

Verify identity 버튼을 선택하면 신분증 사진을 찍는 화면이 나온다.

 

신분증의 앞면, 뒷면을 찍고, 신분증 앞면이 보이도록 신분증을 들고 셀카 이렇게 3장을 찍어야함.

 

셀카를 찍을때는 화면에 나타나는 지시대로 얼굴의 오른쪽 왼쪽을 보여주고 끄덕거림 등을 해주면 됨.

 

사진 3컷을 다 찍으면 마지막으로 움짤도 찍어주고 마무리.

 

 

 

5. 계좌정보

- Step1. 기본정보

 

본인의 이름을 영문/일문(카타카나)으로 입력해주고, 생일과 성별, 국적을 입력해준다.

 

- STEP2. 거주지

 

사는 곳 주소지를 입력해준다.

 

 

- STEP3. 직업

 

본인의 직업, 업종, 고용형태, 자산규모, 자금용도, 서비스 이용 목적, 트레이딩 경력,

 

코인거래에 대해 어떻게 알게됐나, 얼마나 자주 거래를 할 예정인가 등을 차례로 입력한다.

 

정치적으로 악용할 목적이 아니라면 'I am not a Foreign PEPs.'도 꼭 체크!

 

 

내 직업정보까지 털어주고 나면 인증절차는 마무리가 된다.

 

검증 후 승인이 되면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있고, 서류 불충분시에는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고.

 

 

 

가입하는데 생각보다 절차가 많고 시간도 좀 걸리긴 했는데 금융서비스 가입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생각되는 부분이다.

 

어디 안가고 집에서 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감지덕지.

 

이제 승인이 날만을 기다리면서 그동안 차트 공부를 좀 더 하고 있어야겠다.

 

 

반응형